범종

절에서 아침저녁[조석(朝夕)]예불을 할 때 사용하는 사물(四物) 중의 하나입니다.

의식이나 행사 때 또는 대중(大衆)을 모이게 하거나 때를 알리기 위해서 치는 것입니다.

범(梵)이란 하늘을 말하는데 여기에서 하늘은 우주만물 또는 진리란 뜻으로 진리의 소리 우주의 소리 바로 그런 자연의 소리를 내는 것이 범종입니다.

 

불교에서 범종은

모든 중생이 이 종소리를 듣는 순간

번뇌는 사라지고 지혜는 생겨나

중생의 욕망이 가득 찬 이 사바세계인

지옥과 같은 악도(惡道)를 벗어나게 되므로

지옥중생까지 제도하여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사명이 있으며,

 

종을 치면서 함께 부처님의 가르침(진리)을 범패(梵唄)의 소리로 듣게 함으로서,

지하의 모든 지옥 중생에게까지 들려주어서 그 고통을 벗어나게 하고

위로는 하늘에 있는 사람들에게 까지도 기쁨을 더해주기 위해 칩니다.

 

범종은 아침저녁(조석)에 예불을 할 때 울리며, 범종을 칠 때 함께 게송(偈頌)을 외우는데

아침과 저녁의 게송(偈頌)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침의 종성(種聲).

 

원차종성변법계(願此鐘聲遍法界)

철위유암실개명(鐵圍幽暗悉皆明)

삼도이고파도산(三途離苦破刀山) 

일체중생성정각(一切衆生成正覺)

원컨대 이 종소리 법계에 널리 퍼져서

철위산 아래 어두운 지옥을 다 밝혀주고

지옥 아귀 축생의 삼도(三途)의 고통을 벗어나고

칼산지옥의 고통도 부수어서

모든 중생이 깨달음을 이루게 하소서.

 

저녁의 종성(種聲). 

 

문종성번뇌단(聞種聲煩惱斷)

지혜장보리생(智慧長菩提生)

리지옥출삼계(離地獄出三界) 

원성불도중생(願成佛度衆生)

종소리를 들으면 번뇌를 끊고 지혜는 늘어나 보리(菩提)가 이루어지고

지옥을 벗어나며 삼계(三界)의 고통을 떠나서 부처를 이루어 중생을 모두 제도하여지이다.

 

"범종을 울리는 목적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통하여 평등한 사회의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고 하지요.

범종을 치는 것은 지옥의 고통 속에 있는 중생들을 위해서며 아침저녁으로 울립니다.

큰 절에서는 12시에 12번의 '열반종'을 치기도 합니다.

 

이러한 범종이 울리면,

부처님께 예불을 올리거나 법회 또는 재식(齋式)의 시간으로 그 송경소리를 들은

중생들이 지옥의 고통을 잠시라도 쉬게 하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범종(梵鐘) 법고(法鼓) 운판(雲板) 목어(木魚)를 사물이라고 하는데

사물을 다루는 데는 아침과 저녁이 각각 다릅니다.


아침에는

운판을 치고

목어를 올리고,

법고(북)를 올린 다음,

범종을 28번 울리며,

 

저녁에는

범종을 먼저 33번 울리고 ,

법고(북)를 올리고

목어를 친 다음 운판을 맨 끝에 친다고 합니다.

범종을 33번 치는 이유룰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범종을 33번 치는 이유

범종(梵鐘) · 북「법고(法鼓)」 · 운판(雲板) · 목어「木魚/목탁(木鐸)」를 사물(四物)이라 부른다. 범종은 지옥중생을 제도하기 위함이며, 북은 축생들이 듣고 해탈하라는 염원에서, 운판은 허공을 날아다니는 조류(鳥類)들을 위하여, 목어는 물속에 사는 어류(魚類)들이 이 소리를 듣고 해탈을 하기를 바라는 염원(念願)으로 치게 된다고 합니다.

 

안진호(安震湖)스님이 편 석문의범(釋門儀範)에 의하면, 사찰에서 범종을 치는 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제일, 아침 쇳송” 의 부분에서는 목탁을 치며 송주(誦呪)를 하는 도량석(道場釋)에 대하여 설명을 하고 난 후 “제2, 석례종송”에서 저녁 8시부터 아침 5시까지의 5경(五更)을 나누어 초경(初更) · 이경(二更) · 삼경(三更) · 사경(四更) · 오경(五更)에 대종을 치는 법과 그 이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초경(하오 8시)에는 대종을 2번 쳤는데, 이것은 수행의 단계인 십신(十信) · 십주(十住)를 나타냈으며, 이경(하오 10시)에는 3번 대종을 울려 십행(十行) · 십회향(十回向) · 십지(十地)를 의미했다. 삼경은 자정으로 대종을 108번(이 108번의 종에는 치악산 까치의 보은(報恩)에 담긴 전설이 깃들여 있다고 설명한다.), 사경(상오 3시)에는 견도(見道) 등 오위(五位)를 상징하여 5번을 타종했으며, 오경(상오 5시)에는 대종을 28번, 저녁예불(하오 6시) 때에는 36번을 쳤다.” 라고 정리하고 있다.

 

불교에서 말하는 하늘인 33천(Trāyastriṃśa)의 하늘을 연다는 뜻입니다.

이것이 잘못 전해지게 되어 일부사찰에서는 새벽예불 때 33번을 타종하고, 저녁예불 때 28번을 타종하기도 하는데, 새벽의 33번은 33천의 문을 연다는 의미로, 저녁의 28번은 28천을 닫는다는 뜻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잘못 전해진 것이다.

불교의 우주관인 삼계(三界) 이십오유(二十五有) 의 28천,

혹은 28계, 33천 신앙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아침예불 때 대종을 28번 타종해야하고 그 의미는 28수[宿]의 별과 관계 된 하늘을 깨우는 뜻 혹은 몸에 28대인상(大人相/부처님 몸)을 구족키 위함이며, 저녁예불 때 대종을 36번 타종하는 의미는 4생9류(四生九流)의 중생이 열심히 수행한 공덕에 의지하여 함께 정토에 태어나기를 발원하는 뜻인 것이다. 이는 한국불교에 대한 의식(儀式)의 원본이라 할 수 있는구감(龜鑑), 일용작법(日用作法), 석문의범(釋門儀範)등에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새벽의 28번, 저녁의 33번으로 전해진 것은 옛날부터 큰 도시에서 통행금지를 알리기 위해 치던 인경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측된다. 인경은 순수 우리말로 원어는 '인정(人定)'으로, 통행금지 시간을 알리기 위해 33번 종을 쳤고, 새벽에 통금을 해제한다는 신호로 28번 타종한 것이 잘못 전해진 것으로 생각된다.

매일 새벽예불 때 전국의 사찰에서 스물여덟번의 범종을 울리는 것은 욕계(欲界)의 세계인 지옥(地獄).아귀(餓鬼).축생(畜生).아수라(阿修羅).인간(人間). 욕계천(欲界天/ 6욕천)까지의 여섯 세계와 색계(色界)의 18천과 무색계(無色界)의 4처(處)를 합쳐서 28계(界)를 위함이다.

저녁예불 때의 33번의 타종의 뜻은 욕계천(欲界天)에서 가장 높은 산(山)인 수미산(須彌山) 정상(頂上) 주위의 4방(方)에 있는 사천왕천(四天王天)과 한가운데에 있는 33「선견성(善見城)」을 포함한 33개의 하늘을 뜻한다. 이 모든 세계인 3계(三界)인 법계(法界)를 깨우며 축원을 하는 의식인 것이다.

범종을 치는 수는 불교의 우주관인 삼계(三界)에 존재하는 이십오유(二十五有)의 28천, 혹은 28계, 33천 신앙에서 유래한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새벽이 열리는 시작인 인시(寅時,3~5시)에, 4대문을 여는 파루(罷漏)를 33번 타종하고, 모든 일을 끝내는 저녁 유시(酉時,2시)에는 28번 타종(동양적 사고로는 하늘의 별자리 28수(宿)를 상징한다고도 함)을 하여 하늘의 사람들이 잠들기를 축원 발원하였다는 것입니다.

 

33천을 도리천(忉利天,'뜨라야스뜨림사'Trāyastriṃśa)이라 하는데, 한자어의 도리천은 '뜨라야'에서 유래하였습니다.

 그 곳의 사람인 천인(天人)들은 건강하고 무병장수(無病長壽)한다고 하므로,

 새해나 밝아오는 아침에 온 국민들이 33천의 천인들처럼 건강하고 무병장수하기를 사찰의 스님들은 범종을(혹은 쇠북을 치는 종성)치며 축원하는 것입니다.

 

섣달 그믐날 밤 자정에 여러 곳의 절에서는 뭇 중생의 백팔번뇌를 없앤다는 뜻으로 종을 108번 울렸습니다. 지금은 양력 12월 31일 자정에 서울 보신각과 각 지방에서는 33번의 제야의 종을 울립니다. 108이란 숫자가 그러하듯이 `33'이라는 숫자도 불교에 뿌리를 둔 숫자 입니다. 이 세상에는 백의관음 수월관음 약왕관음 등 자비스러운 33 관세음보살이 있는데, 중생들을 위하여 중생이 원하는 곳이라면 천상 ․ 천하 ․ 지상 ․ 지하 어느 곳이든 모든 사람의 원하는 바를 따라 나타나게 되니 응화(應化), 화신(化身)을 하는 모습이기도 합니다. 33번의 종을 치는 것은 '온 사방 만 백성'의 시름과 번뇌를 씻고, 새로운 해에는 하늘 세계의 아름다운 세계처럼 모든 것을 이루기를 축원하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불교의 풍습을 따라 조선시대에는 이른 새벽 4대문의 개방과 통행금지 해제를 알리는 타종, 즉 파루를 33번을 쳤고 성문을 닫을 때에는 28번의 종을 쳤다고 합니다.

시계가 없던 시절에 사람들은 해를 보고 시간의 흐름을 짐작했습니다. 해시계가 보급된 후에는 조금 나아졌지만 밤중에 시간을 몰라 답답하기는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래서 백성들에게 밤 시간을 알려주는 것이 나라의 정부가 맡은 큰 일 중 하나였습니다.

시간을 알리기 위해 자시(子時), 축시(丑時), 인시(寅時) 등으로 불렀던 하루 12시간 중 밤에 해당하는 5시간, 즉 술시(戌時)에서 인시(寅時)까지는 술시(戌時)는 초경, 해시(亥時)는 이경, 자시(子時)는 삼경, 축시(丑時)는 사경, 인시(寅時)는 오경으로 나누어 각 경마다 북을 쳤습니다. 또 각 경은 다시 5점(오점)으로 나누어 각 점마다 징이나 꽹과리를 쳤습니다. 한 경은 오늘날 시간으로 따지면 2시간, 한 점은 24분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이 소리를 모든 주민이 들을 수는 없었기 때문에 4대문이 닫히고 백성들의 통행금지가 시작되는 이경(밤 10시경)에 28번의 범종과 통행금지가 해제되는 오경(새벽 4시경) 만큼은 33번의 범종으로 종로 보신각에 있는 대종을 쳐서 널리 알렸습니다.

이경에 대종을 28번 쳤는데 이를 인정이라 했고,

오경에 33번을 쳐 이를 파루라 했습니다.

 

인정에는 28번을 친 것은 우주의 일월성신(日月星辰) 이십팔수(28별자리)에게 혹은 불교의 삼계 25유인 온 세상에 해당하는 밤의 안녕을 기원한 것이고,

파루에 33번을 친 것제석천(帝釋天)이 이끄는 하늘의 삼십삼천을 향하여 하루의 국태민안을 기원한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세속적인 밤을 중심으로 계산한 방식이고 불교의 방법은 낮을 중심으로 계산하여 새벽의 문을 열며 28번의 타종과 밤에는 33번(36번)을 치니 그 반대라고 할 것이다.

 

범종을 타종하는 가장 큰 의미는 이 종소리로 말미암아 '일체중생이 삼도의 고통을 여의고, 보리심을 발하여 구경에는 성불하여지이다.' 라는 불교도의 비원(悲願)을 담고 있기에, 수행의 방편, 즉 도구(道具)로 활용한 것이지 결코 28천이니 33천이니 하는 하늘[天]과 연관시키는 것은 오히려 불교적 의미를 희석시키는 결과가 된다. 불교에서 우주를 어떻게 이해하고 설명하는지를 그림을 통하여 알아보자.

불교의 세계관

삼천세계(三千大千世界;梵語,뜨리사하스라-마하사하스로-로까다뚜,Trisāhasramahāsāhāsro lokadhātu )

불교에서는 이 세상을 대천세계(大千世界)·삼천세계(三千大千世界)로 부릅니다.

『구사론(俱舍論)』에 의하면 우주는 위의 그림처럼 원반형의 풍륜(風輪)·수륜(水輪)·금륜(金輪)이 겹쳐서 공중에 떠 있고, 그 금륜 표면의 중앙에 수면에서의 높이가 8만 유순(由旬:약 56만 km)이나 되는 수미산(須彌山)이 있습니다. 그 수미산을 아홉 겹의 산맥이 각각 8개의 바다를 사이에 두고 에워싸고 있으며, 그 바깥에 네 개의 대륙(四大洲:그 중 남쪽의 섬주부(贍部洲) 또는 염부제(閻浮提)에 인간이 살고 있다)이 있고, 그 가장 바깥을 철위산(鐵圍山)이 둘러싸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미산을 중심으로 세상이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하며 수미산의 남쪽에 남섬부주에 우리들이 살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 수미산을 중심으로 하늘의 세계가 펼쳐지는 것입니다.

 

수미산위의 하늘세계

불교에서는 온 세상을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의 삼계(三界)로 설명합니다. 욕계에는 지거천(地居天)과 공거천(空居天)에 여섯 개의 하늘이 존재한다고 설명합니다.

 

지거천(地居天)에 해당하는 수미산의 중턱에

사천왕(四天王: 동의 지국천(持國天), 남의 증장천(增長天), 서의 광목천(廣目天), 북의 다문천(多聞天)혹은 비사문천(毘沙門天)이 살고 있고,

 그 정상에는 제석천(帝釋天)을 비롯한 33의 천신(天神)이 살고 있는데,

 이곳을 삼십삼천(三十三天) 또는 도리천(忉利天)이라고 합니다.

 

또 공거천(空居天)에 해당하는 수미산의 상공에는 야마천(夜摩天)·도솔천(兜率天)·낙변화천(樂變化天)·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이 있는데, 이 지거천(地居天)과 공거천(空居天)의 여섯 천궁은 아직 도덕적으로도 불완전하며 욕망을 완전히 버리지 못하였으므로 육욕천(六欲天)이라고 합니다.

다시 그 위에 정신적인 삼매(三昧)를 이루었기에 선(禪)의 명상으로 형상[色]을 나타내어 갖추고는 있으나 욕망을 완전히 떠난 색계(色界)의 천들이 있습니다.

 

이 색계의 천은 초선(初禪)·이선(二禪)·삼선(三禪)·사선(四禪)의 천(天)과 정거천(淨居天)의 단계로 나누어져 있는데,

그 초선에 대범천(大梵天)과 그 권속들이 살고 있습니다. 선정(禪定)수행의 욕망이 자재한 단계로서 정(定)을 이루어 있지만 아직 형상마저 벗어난 무색계(無色界)의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단계입니다. 다음의 세계는 정신적으로 완전한 형상이 사라진 세계인 무색계(無色界)의 하느로 삼계(三界) 25유의 세계가 설명되고 있는 것입니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은

풍륜에서 욕계(欲界)와 색계(色界)의 정거천(淨居天)에 이르는 범위의 형상의 세계와 완전한 정신적인 무색계(無色界)를 하나의 세계로 구성합니다.

이 세계에는 하나의 태양, 하나의 달이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현대적인 의미에서는 태양계에 해당된다고 하겠습니다.

이 세계가 1,000개 모인 것이 소천세계(小千世界)인데, 현대과학으로는 은하계에 해당한다고 하겠습니다. 소천세계가 1,000개 모인 것이 중천세계, 그리고 중천세계가 다시 1,000개 모인 것이 대천세계(大千世界)인데, 이를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 또는 삼천세계라고 합니다.

 후에 삼천은 3,000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그것은 그릇된 것이며, 1,000의 3제곱으로 보는 것이 마땅합니다. 말하자면 대천세계란 1,000의 3제곱으로 10억 개의 세계가 됩니다. 결국 이는 우주 전체를 가리키는 것입니다.

三界二十八天(삼계이십팔천)

삼계(三界)

無色界

色界

欲界

비상비비상처천非想非非想處天

무소유처천無所有處天

식무변처천

識無邊處天

공무변처천空無邊處天

淨居天

정거천

四禪天

사선천

三禪天

삼선천

二禪天

이선천

初禪天

초선천

空공

居거

天천

地지

居거

天천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

선견천

善見天

선현천善現天

무열천無熱天

무번천無煩天

무상천無想天

광과천廣果天

복생천福生天

무운천無雲天

변정천邊淨天

무량정천無量淨天

소정천少淨天

광음천光音天

무량광천無量光天

소광천小光天

대범천大梵天

범보천梵輔天

범중천梵衆天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화락천化樂天

도솔천兜率天

야마천夜摩天

도리천

忉利天

사왕천

四王天

北毘沙門天

東持國天

西廣目天

南增長天

수미산을 중심으로 위에는 하늘의 세계가 펼쳐지고 하늘의 아래 세계로서 그 주위에는 승신주(勝身洲)·섬부주(贍部洲)·우화주(牛貨洲)·구로주(俱盧洲)의 4대 주가 동남서북에 있고 이곳에는 사람들이 살고 있는 인간계가 있다. 그것을 둘러싼 구산(九山)과 팔해(八海)가 있습니다.(위의 2번째 그림) 이 수미산의 하계(下界)에 해당하는 인간보다 낮은 세상에 철위산(鐵圍山)의 밖에는 4개의 악취가 있으니 4악취(惡趣)라 불리는 지옥(地獄) 아귀(餓鬼) 축생(畜生) 아수라(阿修羅)의 세계가 있는 것입니다.

 

 불교에서는 업보 의 전개로서 누릴 수 있는 생명 형태를 여섯 갈래로 설명합니다. (물론 인도 고대의 종교에서 유래한 사상 나중에 불교의 우주관으로 포함된다.)

지옥(地獄) : 가장 고통받는 삶의 형태. 아귀(餓鬼) : 굶주림에 시달려야 하는 생존 형태. 축생(畜生) : 짐승들의 세계, 난폭하고 이성적이지 못한 삶. 아수라(阿修羅) : 폭력만이 존재하는 생존 형태. 인간(人間) : 인간들의 삶. 천상(天上) : 하늘나라의 신적인 존재. 이별의 아픔이 남는 세계. 앞의 셋을 삼악도(三惡道), 뒤의 셋을 삼선도(三善道)라 하며, 통틀어 육도윤회(六道輪廻)라고 말합니다.

 

수미산(須彌山)의 정상은 정입방체로 되어 있는데, 그 중심에 선견천(善見天)이 있고 주위의 사방에는 각각의 방위마다 8개의 하늘궁전이 있어 32개의 궁전이 있으므로 도합 삼십삼천(三十三天)이라고 합니다.

이 수미산 위의 공중에는 욕계(欲界)의 6천에 해당하는 나머지 네 개의 하늘과 색계천(色界天)·무색계천(無色界天)들이 차례대로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세계관을 통하여 살펴보면,

 새해에 울리는 범종은 33천을 울리며 삼계의 윤회를 벗어나고 육도윤회를 멈추려는 발원이기도 합니다.

 탐욕과 성냄 어리석음이 가득한 욕계의 세상을 살아가는 중생들 모두가 고통의 바다를 벗어나기 위하여 수행을 하여야 합니다. 

그 수행의 단계로서 선정의 바른 수행을 통하여 색계의 4선천과 무상의 세계를 수행하여 정거천(淨居天)을 벗어나 무색계(無色界)의 하늘에 이르는 수행을 통하여 구경(究竟)의 깨달음을 얻기를 발원하며 33천을 울리는 범종을 치는 것입니다. 아래의 표에 있는 것처럼 모두가 4악취를 벗어나 철위산의 어두운 세계를 벗어나 열반에 들기를 발원하며 범종을 울리는 것입니다.

산사에서 울리는 범종과 함께 랑랑하게 들리는 스님의 소리 그 발원을 음미해 봅시다. 

 아침예불의 쇳송인 조례종송(朝禮鐘頌)에는 다음과 같은 염원이 담겨 있습니다.

"원컨대 이 종소리 법계(法界)에 두루 울리어,

철위산(鐵圍山)의 어둠이 모두 밝아지고,

삼도(三途)의 고통은 벗어나고 도산(刀山/칼산지옥(地獄)은 무너져,

모든 중생이 정각(正覺)을 이루기를 발원합니다."

 저녁예불의 쇳송인 석례종송(夕禮鐘頌)은 다음과 같다.

 "이 종소리를 들으면 번뇌는 끊어지고,

지혜가 자라나서 깨달음「보리(菩提)」을 이루고,

지옥을 벗어나고 삼계에서 뛰어넘어,

부처를 이루어 중생을 건지기를 발원합니다."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 삼계육도설  (0) 2017.01.18
불교 삼계28천  (0) 2017.01.18
불교의 십계 33천  (0) 2017.01.18
불교 십계 33천  (0) 2017.01.18
불교 삼계 33천  (0) 2017.01.18

+ Recent posts